호우 특별재난지역 통신·유료방송
요금 감면 신청 방법
(🔻신청방법은 페이지 중앙에🔻)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분들께 깊은 위로와 힘을 보냅니다.
이번 강우 피해로 인해 통신비, 방송요금 부담이 크게 느껴지시는 분들 많으시죠?
정부와 통신사에서 임시 감면 지원을 진행하고 있어 꼭 챙기셔야 할 정보를 안내해드립니다.
감면 대상 및 지원 내용
구분 | 감면 내용 | 비고 |
---|---|---|
이동전화 (휴대폰) |
세대당 1회선 1개월분 요금 전액 감면 |
SKT, KT, LGU+ 등 3사 모든 회선 |
유선전화·인터넷전화 |
월정액 1개월 전액 감면 |
|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
월정액 1개월 100% 감면 |
|
유료방송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
기본료 1개월분 50% 이상 감면 (상황별 사업자 자율로 상향 적용 가능) |
SK브로드밴드, 각 방송사 포함 |
전파사용료(무선국) |
6개월간 전액 감면 (7월~12월) |
시설자·법인사업자 등 |
감면 대상은
특별재난지역 내 1~90등급으로 판정된 피해 가구입니다.
임시 거주, 이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이 불가한 경우 위약금 없이 해지도
가능합니다.
각 통신사 및 유료방송사와 정부 협조로, 빠르고 자동적으로 감면
처리됩니다.
감면 신청 방법 및 절차
1. 해당 지자체(시·군·구청, 행정복지센터)에 피해 사실 신고
주민등록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군구청 방문해서 재해 증명서(피해 사실 확인서) 발급 요청
2. 감면 신청 자동 일괄 처리
신고된 피해 명단이
통신·유료방송 사업자에 전달되어
별도의 추가 신청 없이 일괄로 감면 처리
(통신회사가 해당 고객 찾아서 감면 처리)
3. 감면내역 확인
감면 대상자는 다음달 고지서에서 요금
감면 내역을 확인 가능
4. 추가 문의
혹시 감면이 누락됐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각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지자체에 문의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 감면 대상에 속하는지, 피해 사실 신고가 제대로 되었는지 꼭 확인하세요.
✅ 휴대폰·통신·방송요금 등 1가구 1회선, 1개월분 감면이라는 점 참고!
✅ 유선 통신서비스(인터넷전화, 초고속인터넷 등) 역시 모두 해당.
✅ 본인이 직접 통신사나 방송사업자에 따로 신청할 필요 없음!
✅ 감면 처리 후에도 누락 시, 반드시 해당 통신사·지자체로 추가 문의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
감면을 꼭 신청해야 하나요?
피해 사실을 지자체(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고하면, 일괄적으로 명단이 통신/방송 사업자에 전달되어 별도의 개별 신청 없이 자동 감면 처리됩니다.
-
IPTV·케이블 등 유료방송 감면률은?
최소 50% 이상 기본료 감면이며, 각 유료방송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최대감면까지 확대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한 달분 50%~100% 감면)
-
휴대전화 감면은 몇 대까지?
1가구당 세대주 명의 1회선(1대)에 한해 1개월분 전액 감면됩니다.
-
전파사용료(무선국 요금) 감면 절차는?
무선국 시설자 명단도 정부에 의해 확인되어 7월~12월 6개월 동안 일괄 감면됩니다. 문의: 전파이용CS센터(080-700-0074)
-
공실이나 오랜 수리 등으로 통신을 못쓰는 경우는?
임시거주, 주거 불능 등으로 이용이 불가하다면, 위약금 없이 요금 해지가 가능합니다. 담당 통신사·유료방송사 콜센터/지점 문의 권장
💎 핵심 포인트:
피해 사실 관할 행정복지센터 신고 → 별도 신청 없이 1개월 통신·유료방송
요금 감면!
의문점은 각 통신사·유료방송사 콜센터, 또는 관할 지자체로 언제든
문의하세요.
